영일정씨포은공파 종약원 족보간행의 과정
영일정문(迎日鄭門)은 고려 숙종조(肅宗朝:1096∼1105) 이래 가승(家乘)과 호적으로 가계(家系)를 이어 온지 900여년이 지났다. 그동안 가승과 호적을 중심으로 편집된 족보의 역사를 살펴보고 우리 종약원에 보존되어 있지 않은 족보와 보존된 족보의 간행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종약원에 보존되어 있지 않은 족보
을해보(乙亥譜) : 1575년(선조 8년)에 간행되었으며 2권으로 편집되었다.
2. 종약원이 보존하고 있는 족보
가. 오천정씨족보〔烏川鄭氏族譜, 기축보(己丑譜)〕
1649년 1,2권으로 편집되었고, 쪽마다 天, 地, 玄, 黃으로 표시하고 규격은 25.5㎝×36㎝이다. 수록(收錄)은 시조〔습명 형양공(襲明 滎陽公)〕로부터 20대까지 수록되었으며, 오천정씨 세계도(世系圖)는 기축(己丑) 정월 17대손 전대군사부(前大君師傅) 극후(克後) 근찬(謹撰)으로 되어 있고,〔문충공행록(행장략)文忠公行錄(行狀略)〕은 1410년(太宗10 년, 庚寅) 3월 문인(門人) 함부림(咸傅霖)이 찬(撰)하였다. 이 족보는 1980.3.25일 국립중앙도서관 보관본의 사본이다.
발문(跋文)은 서기 1649년(己丑) 2월 하한(下澣) 18대 진주목사(晋州牧使) 호인(好仁) 근지(謹識)로 기록되어 있다.
오천정씨족보(己丑譜)(복사본) 2책 1649년(인조27년) 刊 원본 : 국립도서관 소장
나. 영일정씨세보〔迎日鄭氏世譜, 경자보(庚子譜)〕
1720년(肅宗 46년)에 간행하였고 7권으로 26대까지 수록되어 있다. 세계(世系) 또는 원파록(源派錄) 등 고사(古辭)는 싣지 않고 시조로부터 26대까지 6단으로 수록되어 있다. 발문(跋文)은 별좌공(別坐公)의 6대 순제(順濟) 추지(追識)로 되어 있으며 영천 환구서사(環丘書社) 개간(開刊)으로 되어 있다. 본보(本譜)는 별좌공(別坐公)으로부터 시작하여 하곡〔(霞谷=제두(齊斗)〕이 중수(重修)하고 삼종조(三從祖) 기(曁)가 공집편마(共執編摩)하는 등 40여년에 걸쳐 하곡의 종손 지익(志翼)이 23편7권으로 입각(入刻)되었고 판본(板本)이며 복사본으로 되어 있다. 삼수발문(三修跋文)은 숭정후삼갑오(崇禎後三甲午) 중양일(重陽日) 별좌공 6대손 순제(順濟)가 추지(追識)하였다.
영일정씨세보(庚子譜)(복사본) 7책 1720년(숙종46년) 간행시작하여 1774년(영조50년) 完刊
다. 영일정씨세보〔迎日鄭氏世譜, 갑오보(甲午譜)〕
1774년(英祖50년) 간행되었는데 1720년 경자보의 최종 완성본이다.
자손록(子孫錄)은 경자보(1720년)와 같으며, 경자본(庚子本)에 비해 을 해(乙亥), 기축(己丑) 양본(兩本)을 개수하는데 노력하였다. 신수 범례(新修 凡例) 21항목, 삼수 범례(三修 凡例) 11항목의 범례를 규정하여 7권 상,중,하 21편으로 수권(首卷)만 보관되어 있다.
특히 숙종대왕 어제(御製)
(1) 문충공문집(文忠公文集) 중 견유상유감작찬(見遺像有感作贊)과
(2) 영(詠) 정포은(鄭圃隱) 단심가(丹心歌) 제1, 제2, 제3편이 있으며
(3) 선죽교 시(詩)〔황조 숭정기원후(皇朝 崇禎紀元後)113년 冬立〕기록이 실려있는 목판본(木板本)이며 복사본이다.
라. 영일정씨속보〔迎日鄭氏續譜, 을축이정보(乙丑釐正譜)〕
1865년(高宗2년)에 간행되었으며, 서문은 하곡(霞谷)의 손(孫) 문강공(文康公) 현손(玄孫) 문승(文升) 근서(謹書)로 되어 있고
을해, 기축, 갑오보(譜)까지 70여년간의 속간(續刊) 의논 끝에 26대까지 수록되었으며, 지역별 소파별(小派別)로 편철되었다.
영일정씨속보(乙丑釐正譜)(복사본) 14책 1865년(고종2년) 刊
마. 영일정씨세보〔迎日鄭氏世譜,청동보(淸洞譜),오수보(五修譜)〕
1880년(高宗17년)에 간행되었고 권수(卷首)로부터 권 8까지로 구분하고 상,중,하로 분책(分冊) 25책으로 되었다. 5修 서문(序文)은 문충공(文忠公) 15대 환익(煥翼) 근서(謹書)로 되어 있다. 자손록(子孫錄)은 31대까지 수록되었고, 목판본을 복사하여 보관하였다. 정동정사(精洞精舍) 경진인(庚辰印) 임오필(壬午畢)로 되어 있으며, 5修 발문(跋文)은 문충공 16대 기석(箕錫) 경발(敬跋)로 되었다.
영일정씨세보(淸洞譜)(복사본) 8책 1880년(고종17년) 刊
바. 영일정씨세보〔迎日鄭氏世譜,계축보(癸丑譜)〕
1913년에 간행되었다. 금속인쇄본으로 원본과 사본이 있으며, 24책으로 되었고 서문(序文)은 문충공 19대 전 의정부찬정(議政府贊政) 주영(周永) 근서(謹書)로 되어 있다. 자손록(子孫錄)은 34대까지 수록되었다.
발문(跋文)은 문충공 16대 봉기(鳳基) 근발(謹跋)이며, 의동정사(義洞精舍) 계축인(癸丑印) 갑인필(甲寅畢)로 마감되었다.
영일정씨세보(癸丑譜)(원본) 24책 1913년 刊
사. 영일정씨세보〔迎日鄭氏世譜, 경자보(庚子譜)〕
1960년 간행되었으며, 금속인쇄본으로써 권4(卷四)로 편철되었다. 자손록은 문충공파 후손만 수록되었고 11대 포은선생으로부터 시작하여 34대 수(洙)字 항렬(行列)까지 등재하였다. 계파(系派)를 37계파로 분류하고 서문은 문충공 20대 원화(元和) 근서(謹書)이며, 발문(跋文)은 경자(庚子) 칠석절(七夕節)에 문충공 21대 연국(然國) 근지(謹識)로 되어 있다.
경자보(庚子譜)(원본) 4책 1960년 刊
아. 영일정씨세보〔迎日鄭氏世譜, 신유보(辛酉譜)〕
1981년에 간행되었으며 총 12권으로 되었다. 형양공(滎陽公) 후손인 1 派에서 8派까지 수록하였고, 서문, 교서(敎書), 유래, 발문(跋文) 등의 한문을 한글로 번역 수록하였으며, 고려 이후의 관직 품계, 기원 조견표가 수록되어 있어 족보 독해에 도움을 주었다. 자손록(子孫錄)은 시조로 부터 35대까지 수록되었으며, 북한 종친들의 자료가 없어 수록하지 못하였음을 알리고 있다. 세보 서문은 형양공 29대 해영(海永) 근서(謹書)와 형양공 30대 육군대장 승화(昇和) 근지(謹識)로 되어있다.
이후의 대동보(大同譜)는 간행한 바 없으며 系(小)派는 소종중(小宗中)별로 간행되어 종약원에 보관되어 있다.
영일정씨세보(辛酉大同譜)(원본) 12책 1981년 刊